![]() |
▲외국인 투자기업 오찬 간담회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아 다음 주 독일과 덴마크를 잇달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순방 계획을 돌연 연기했다고 14일 밝혔다.
당초 윤 대통령은 오는 18일부터 일주일 일정으로 독일과 덴마크를 각각 국빈, 공식 방문 형식으로 찾기로 하고 상대국들과 세부 일정을 조율해 왔지만 출국 나흘전에 갑자기 연기를 결정하면서 외교 결례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대통령실 및 정부는 독일, 덴마크 측과 조율을 거쳐 이같이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향후 순방 일정은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경제·민생·안보 등 국내 현안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며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대하는 의사 단체들의 집단행동 예고, 잇따른 북한의 군사 도발 상황 등도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의 이번 순방은 경제 행보에 초점을 뒀던 것으로 알려졌다. 순방에 동행할 경제사절단도 꾸려 양국 기업 간 교류도 있을 예정이었다.
전통적 경제 강국으로 특히 강소기업이 많은 독일, 청정에너지 강국인 덴마크와 경제 교류의 접점을 넓히겠다는 게 윤 대통령의 구상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보다는 4월 총선을 약 두 달 앞둔 시점에서 정무적 판단도 작용했을 것이란 해석에 힘이 실리고 있다.
해외 순방 비용 문제 등을 지적해온 야권이 이번 순방을 정치 쟁점화해 공세 소재로 삼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아예 빌미 자체를 주지 않으려 했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순방이 이뤄졌다면, '명품백 논란'으로 잠행을 이어가는 김건희 여사의 동행 여부도 주목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김 여사가 다시 모습을 드러내든, 안 드러내든 그 자체가 야권의 공세 소재로 떠오를 가능성이 컸기 때문이다.
한편, 대통령 순방에 맞춰 경제사절단을 꾸려 기업인들의 시장 진출을 지원해 왔던 재계 단체들은 이미 선발대가 출발한 상황에서 대통령실의 예기치 않은 순방 취소로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료와 숙박비 등 일체를 기업인이 부담하는 형태로 진행된 순방 경제사절단은 약 60~70명 규모로 이미 일부는 독일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 일정을 주관했던 대한상공회의소는 관련 부서 직원을 이미 현지에 보낸 상태에서 대통령 순방 연기를 통보받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선발대 역할의 실무진 두 명이 독일 현지에서 일정 순연을 연락받고 귀국을 준비하고 있다"며 "일정을 갑자기 안내받았지만 그래도 현지 협력 업체 관계자들의 얼굴을 보고 양해를 구할 수 있어 다행"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