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과 정진석 비서실장 (사진=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민정수석을 다시 부활하기로 한 것으로 1일 알려졌다.
윤석열 정부는 2022년 5월 10일 출범과 동시에 민정수석을 폐지한 바 있는데, 민정수석 폐지는 대선 공약이기도 했다.
민정수석실에는 현재 비서실장 아래에 있는 공직기강비서관실과 법률비서관실을 관할하면서 민심 청취 기능을 담당하는 민정비서관실을 새롭게 두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민정수석으로 부활할지 법무수석, 법률수석, 민생수석 등 다른 명칭으로 신설할지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부패비서관 역시 부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일부에서 나오고 있는데 이 역시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한 회담에서 "정책이 현장에서 어떤 문제점과 개선점이 있을지 정보가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김대중 정부에서 민정수석실을 없앴다가 2년 뒤 다시 만들었는데 이해 가는 부분이 있다"고 말해 사실상 민정수석실 부활을 예고한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민정수석 후보군에는 김주현 전 법무부 차관과 박찬호 전 광주지검장이 우선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때 폐지가 검토됐던 시민사회수석은 다시 존치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시민사회수석으로는 전광삼 전 시민소통비서관이 거론된다.
정무수석실도 국회 업무를 담당하는 정무1비서관실과 여론조사나 전략기획 업무를 담당하는 정무2비서관실을 합치는 방안 등을 포함해 복수의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정진석 비서실장의 국회 부의장 시절 정무비서관을 지낸 김장수 장산정책연구소 소장을 중용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총선 다음날 일괄 사의를 밝혔던 성태윤 정책실장을 비롯한 정책라인 수석들과 이도운 홍보수석은 업무 연속성 등을 고려해 유임되는 쪽이 유력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조직 개편은 아직 안을 만들고 있는 상황"이라며 "확정되지 않아 언론에 공유해 드릴 상황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