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과 인사하는 한동훈 비대위원장 (사진=연합뉴스) |
김건희 여사 의혹 대응 등을 놓고 미묘한 긴장 관계를 보이던 집권 여당과 대통령실이 결국 정면으로 부딪쳤다.
대통령실이 21일 한 위원장에게 위원장직 사퇴를 요구하고 한 위원장이 이를 곧바로 거부하면서 총선을 80일 앞둔 여권이 격랑 속으로 빠져드는 모습이다.
이관섭 대통령 비서실장이 이날 취임한 지 26일밖에 되지 않은 한 위원장에게 사퇴 요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진 데는 김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에 대한 한 위원장의 대응이 직접적 배경이 됐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명품백 수수 의혹 사건은 '몰카 공작', '함정 취재'가 본질이고 김 여사는 피해자로 봐야 하는데 당에서 김 여사의 사과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을 놓고 대통령실의 불만이 예사롭지 않았다는 것이다.
한 위원장은 최근 명품백 수수 의혹과 관련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대응을 연일 강조해왔다.
대통령실은 한 위원장과 긴장 기류가 있다는 부분을 점점 숨기지 않는 듯한 기류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김 여사 명품백 수수 논란과 관련한 한 위원장의 '국민 눈높이' 발언에 대해 "우리와 협의한 것은 없었다"고 말했다. 한 위원장의 '단독 행동'이었다는 설명이다.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한 위원장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는 보도를 두고 "이른바 기대와 신뢰 철회 논란과 관련해서는 공정하고 투명한 시스템 공천에 대한 윤 대통령의 강한 철학을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다만 이관섭 비서실장과 한 위원장의 만남에 대해 "만남 자체는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당정 소통의 일환이었다"며 한 위원장 거취 문제는 용산이 관여할 일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위원장은 당정 갈등에 대한 보도가 확대 재생산되는 가운데 "국민 보고 나선 일, 할 일 하겠다"며 사퇴 요구를 일축하고 비대위원장직을 이어가겠는 의지를 천명했다.
한편, 총선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자칫 여권 분열에 대한 우려 속에 양쪽이 극적 봉합을 시도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대통령실은 한 위원장과 평행선을 달리는 김 여사 논란 대응과 관련해 자체 해법을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윤 대통령의 '공식 사과'가 나올지는 미지수다.
윤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김 여사 관련 입장을 직접 밝혀야 한다는 의견도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여러 안에 대해 검토 중이고 정해진 것은 없다"고 말했다.
KBS나 KTV 등 특정 언론사와 단독 인터뷰나 기자단과의 '김치찌개 오찬'도 내부에서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