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민주당 혁신위 2차 브리핑 (사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당내 대의원제 폐지 문제와 관련해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투표 반영 비율을 축소하는 내용의 혁신안 발표 시점을 연기했다.
당초 혁신위는 8일 간담회를 열어 발표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혁신위는 전날 밤늦게까지 장시간 회의를 이어갔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고 발표 시점도 10일로 이틀 미루기로 결정했다.
대의원 투표 반영 비율 축소 문제는 친명계와 비명계 충돌이 불가피한 민감한 이슈인 만큼, 추가 논의를 이어가기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그간 당내에서는 전당대회에서 대의원이 행사하는 1표가 권리당원 60표에 해당해 표 등가성이 '당원 민주주의'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민주당은 작년 8·28 전당대회를 앞두고 대의원 표 반영 비율을 기존의 45%에서 30%로 낮추기도 했다.
'2021년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이 터지자 대의원의 표 비중을 줄여 이들에 대한 금품 제공 유혹을 차단하자며 친명계를 중심으로 대의원제 폐지 요구가 커졌다.
![]() |
▲김은경 혁신위원장 (사진=연합뉴스) |
□ 이상민, 고민정, 홍영표...비명계 일제히 반발
혁신위가 대의원제 축소안을 권고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자 당장 비명계의 반발이 터져 나왔다.
이상민 의원은 “혁신위가 대의원제를 들고 일어나는 건 결국 강성 당원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려는 대변자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라며 “혁신의 대상인 일그러진 팬덤에 충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대표의 리더십게 큰 문제가 있다"며 "퇴진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는 주장을 거듭 강조했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대표가 그만두는 상황을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면 굳이 대의원제 폐지 문제를 지금 거론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대표로서의 위치를 흔드는 것”이라며 “당대표가 조기에 내려오게 되면 전당대회가 열릴 수도 있으니 이를 준비해야 한다는 논리 구조가 작동하고 있는데, 그것을 가정하고 싶은 생각은 없다”고 강조했다.
홍영표 의원은 "도덕성과 정체성 확립, 신뢰 회복 등의 혁신안은 사라지고 당에 혼란과 문제만 일으키고 있다"며 "이런 혁신위가 만든 혁신안을 누가 신뢰할 수 있겠느냐"라고 반문했다.
이원욱 의원은 "지난 세 번의 선거에서 대의원이 선거 패배의 주요 원인이었다면 당연히 혁신 대상이 되어야 하지만 그것이 핵심이 아니라는 건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윤영찬 의원도 SNS에 "혁신위는 남에게 혁신을 요구하기 전에 이 지경에 이른 책임을 통감하고 스스로 간판을 내리라"고 요구했다.
![]() |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 모습 (사진=연합뉴스) |
□ 대의원제는 비민주적...폐지 주장하는 친명계
친명계는 작년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거가 치러질때 공약으로 '대의원제 폐지'를 내건 것이라며 이제는 해결해야 할 때라고 나서고 있다.
여당인 국민의힘도 대의원제를 없앤 마당에 민주당이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는게 비민주적이라는 주장이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민주당의 당권은 당원에게 있고 모든 당권은 당원으로부터 나온다. 하지만 이 정신이 민주당에서 과연 구현되고 있는가”라며 대의원제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정 최고위원은 “민주주의 선거에서 대통령도 1표, 일반 국민도 1표, 재벌 총수도 1표, 서민도 1표를 행사한다. 적어도 민주주의 선거는 권력과 재력에 모두 평등하다”며 “그런데 왜 민주당에서는 당원은 1표, 대의원은 100표를 행사하나. 대의원이 당원보다 당비를 100배 더 내는 것도 아니다”라고 지적한바 있다.
김용민 의원은 페이스북에 "혁신하자 해놓고 마음 닫고 비난만 하는 태도를 먼저 혁신해야 한다"며 '혁신위 무용론'을 주장하는 비명계를 겨냥한 듯한 글을 적었다.
혁신위가 김 위원장의 설화로 이미 당내 신뢰를 잃고 활동을 조기 종료하는 마당에 이들이 내놓는 혁신안이 크게 힘을 발휘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10일, 예정대로 대의원제를 사실상 폐지하는 수준의 혁신안이 발표되면 민주당 내 친명계와 비명계 간 갈등은 본격적으로 재점화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