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우원식 의장(사진=연합뉴스) |
우원식 국회의장이 "김건희 특검법 등 본회의에 부의된 3건의 법안을 19일에 처리할 수 있도록 양당이 협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11일 기자회견에서 "지금 국회의 가장 큰 책무는 한시라도 빨리 의정갈등을 해결하는 것"이라며 "여야의정 협의체 가동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치솟는 물가만으로도 명절 쇨 일이 걱정인데, 의료대란까지 겹쳐 불안감이 더해지고 있다"며 "조속히 국민의 불안을 덜고 피해가 더 커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어렵사리 여야의정 (협의체)의 입구에 서 있는데, 한 걸음을 더 내디뎌 문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우 의장은 "국민이 반년 넘게 불편과 고통, 희생을 감내한 끝에 막다른 곳에서 여야의정 협의체의 현실화 가능성이 열렸다"며 "어떻게든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건희특검법을 비롯한 세 건의 쟁점 법안이 본회의에 부의됐다. 국회법 절차에 따라 신속히 처리하자는 것이 야당의 요구"라며 "다만, 지금으로선 국민 비상 상황에 집중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 국회의장의 판단"이라고 했다.
우 의장은 "의료대란 우려를 낳고 있는 의정 갈등 해결이 우선"이라며 "국민 요구라는 공동 목표를 기준으로 야당은 특검법 강행에 한 걸음 물러서고 대통령과 정부는 신뢰 회복에 필요한 조처를 함으로써 여야의정 협의체를 조속히 출범해 의정 갈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지혜를 발휘할 것을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들 3개 법안은 이날 야당 단독 처리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통과했고, 다음날 열리는 본회의에 상정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으나 우 의장은 해당 법안들의 본회의 상정을 추석 이후로 미루겠다면서 여야 협의를 당부했다.
우 의장은 정부와 대통령실의을 향해서도 "사회적 대화의 출발은 상호 간 신뢰와 존중이다. 대통령과 정부가 훨씬 더 유연하고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상황이 이렇게까지 온 것에는 대통령과 정부의 책임이 가장 크다는 것이 국민 평가"라고 말했다.
또 "대통령께서 직접 사태 해결 의지를 밝히고 의료계가 테이블에 앉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며 "의료계도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국민 불안과 고통을 더는 일에 동참할 것을 요청한다"고 당부했다.
민주당은 김건희 특검법에 새로이 추가된 김 여사의 ‘선거 개입 의혹’의 경우 공직선거법 공소시효(다음달 10일)가 얼마 안 남은 만큼 12일 본회의에서 서둘러 처리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야당 법사위원들은 기자회견에서 “법사위원들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의장 처사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 국회의장께 오늘 처리한 세 건 법안을 본회의에 상정해주실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