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2표, 권역별 투표제’를 도입하기로 했던 비대위 안을 도입하지 않기로
![]() |
▲ 5일~6일 더불어민주당 당사앞에서 권리당원들이 전당대회 관련 룰혁신을 요구하는 집회를 가졌다. |
6일 더불어민주당이 8·28 전당대회 경선 규칙을 원안으로 돌려놨다.
이는 전날 오후 2시부터 더불어민주당 당사앞에서 민주당 권리당원들의 "민주당은 중앙위 컷오프 철회하라고 요구하는 집회와 철야농성을 가진 것에 대한 결과로 평가된다.
이들의 요구는 국민의힘 보다 더 비민주적인 민주당의 당원 의사결정권에 대하여 강하게 혁신을 요구했다. 당대표는 전당원 투료로 하라고 강력히 주장했다.
6일 오전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끄는 비대위는 당무의를 열고, 전당대회준비위원회가 의결한 원안을 당지도부인 비상대책위원회가 수정했으나 권리당원들이 이는 민주주의를 역행하는 반혁신이라며 민주당사앞에서 철야집회를 이어가자, 당무위원회가 다시 주요 내용을 원안으로 돌리는 수정안으로 의결한 것이다.
당무위는 이날 회의를 통해 당대표 선출을 위한 예비경선을 ‘중앙위원 투표 70%+국민여론조사 30%’라는 전준위의 원안을 그대로 반영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비대위는 국민여론조사 30%를 ‘변별력에 의문이 있다’는 등 이유로 뺀 바 있다.
다만 당무위는 최고위원 예비경선의 경우 ‘중앙위원 100% 투표’로 하기로 의결했다. 이 부분은 전준위의 원안이 아닌 비대위의 안을 받아들이면서 사실상 ‘수정안’을 낸 것이다.
또 당무위는 최고위원 본 경선에서 ‘1인 2표, 권역별 투표제’를 도입하기로 했던 비대위 안을 도입하지 않기로 했다. 우 위원장은 “중장기 과제로 좀 더 설계를 고민하도록 권유하고 지금 당장 도입하는 건 아닌 걸로 비대위가 스스로 철회하고 당무위에 보고했다”고 했다.
이날 당무위는 예비경선 제도를 놓고 2시간 여 동안 토론을 거쳤다. 이후 해당 의결사항들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고 우 위원장은 전했다.
▲ 6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2030청년지지자들의 기자회견 |
당무위 결정이 나기 전, 6일 오전 김용민 의원과 민주당 2030 청년지지자들이 기자회견을 가졌다.
2030 청년당원들은 5일부터 6일까지 이어진 집회와 철야농성을 벌인 민주당의 청년지지자들을 보면서 희망을 가졌다며 "민주당 전준위를 무력화한 비대위 결정을 철회하고, 가장 민주적인 전당원 투표로 하라"고 강력한 호소를 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