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은 워싱턴 국회의사당에서 낸시 펠로시(Nancy Pelosi) 하원의장 등 미 하원 지도부 의원들을 만나 현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문 대통령은 펠로시 의장에게 “안녕하십니까”로 첫 인사를 나누며, 팔꿈치 인사로 반가움을 표시했다.
![]() |
간담회에는 펠로시 하원의장을 비롯, 스테니 호이어(Steny Hoyer) 하원 민주당 원내대표, 스티브 스컬리스(Steve Scalise) 하원 공화당 원내총무, 그레고리 믹스(Gregory Meeks) 하원 외무위원장, 아담 쉬프(Adam Schiff) 하원 정보위원장 등 하원 지도부와 앤디 킴(Andy Kim), 메릴린 스트릭랜드(Marilyn Strickland) 연방하원의원 등 한국계 의원 4명이 참석했다.
![]() |
펠로시 의장은 환영 인사에서, “한반도의 비핵화뿐 아니라 대통령님께서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기후문제, 팬데믹 퇴치 등에서 양국 간 함께 노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대한민국은 혁신 선구에 매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 전 세계의 미래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별히 양국 간 국민들에게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크게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바이러스를 이기는 길이 인류의 연대와 협력에 있듯 더 나은 미래도 국경을 넘어 대화하고 소통하는 데 있다”며 “70년간 다져온 한미동맹이 모범이 될 것입니다. 오늘 의원님들과의 만남으로부터 시작될 한미 간의 대화가 한반도 평화는 물론 코로나 극복과 경제 회복, 기후변화 대응에 이르기까지 양국 협력을 더욱 깊게 하고, 전 세계의 연대를 이끄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간담회에서 문 대통령은 “민주주의의 바탕에는 굳건한 한미동맹이 있었고, 한국이 어려울 때 언제나 함께 해준 미 의회의 신뢰와 지지가 큰 힘이 되었다”며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코로나 극복, 글로벌 공급 망 재편, 기후변화 대응에서도 양국 간 협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미 의회의 적극적인 지지를 기대한다고 했다.
![]() |
이에 대해 펠로시 하원의장은 “의회를 대표해서 대통령님의 방미를 초당적으로 환영하며, 존경과 감사를 표명한다. 한미 간 뿐만 아니라 남북 간에도 국민간 교류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고 말했으며, “2007년 미국 하원에 위안부 결의를 낸 바 있고, 아베 전 일본총리를 만났을 때 수차례 관련 언급을 했다. 정의가 실현되는 것을 보고 싶다”고도 언급했다.
스테니 호이어 하원 민주당 원내대표는 “양국은 기후변화, 펜데믹 등 범지구적 공동위기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파트너이자 세계 평화와 번영의 중요한 동반자”라 설명했고, 그레고리 믹스 하원외무위원장은 “한미동맹이 인도태평양 지역 평화와 안정의 핵심 축”이라 말했다.
앤디 킴 하원의원은 “부모님께서 50년 전 가난한 한국에서 이민을 왔는데, 하원의원이 되어 대한민국 대통령을 만나니 매우 감격스럽다”는 특별한 소회를 남기며 “한미관계는 북한이나 중국에 대한 관계 차원이 아니라 한국 자체만으로도 미국의 매우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라고 말했다.
![]() |
![]() |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