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비협조·증거인멸 우려” vs 한 측 “고령·건강 악화, 불구속 필요” 맞서
구속 시 통일교-국힘 연계, 집단 당원 가입 의혹 수사에 탄력 전망
![]() |
▲ 김건희 특검 자진 출석한 한학자 통일교 총재 2025.9.17 (사진=연합뉴스) |
윤석열 정권과 통일교의 이른바 ‘정교유착 국정농단’ 의혹의 정점으로 지목된 한학자 통일교 총재의 구속 여부가 오늘(22일) 결정된다.
서울중앙지법 정재욱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오후 1시 30분 한 총재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다. 이어 오후 4시에는 정모 전 비서실장에 대한 영장심사가 예정돼 있다.
앞서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지난 18일 한 총재에 대해 정치자금법 위반, 청탁금지법 위반, 증거인멸교사, 업무상 횡령 등 네 가지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는 한 총재가 2012년 단독으로 총재직에 오른 이래 처음으로 구속 기로에 놓인 것이다.
특검에 따르면 한 총재는 ▲2022년 1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게 윤석열 정권 지원을 요청하며 정치자금 1억 원을 건넨 혐의 ▲같은 해 김건희에게 고가의 샤넬백과 목걸이를 제공하도록 관여한 혐의 ▲교단 자금을 사적으로 전용한 혐의 ▲자신의 원정 도박 의혹과 관련해 증거 인멸을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불법 정치자금 가운데 절반인 5000만 원에는 ‘왕자(王)’ 표시가 새겨져 있었는데, 윤석열을 지칭한 것이라는 해석도 제기됐다.
한 총재는 세 차례 소환 요구에 불응하다가 공범인 권 의원이 구속된 이후에야 임의 출석해 조사를 받았으며, 특검은 이 같은 비협조적 태도와 증거인멸 가능성을 강조하며 구속 필요성을 주장했다. 반면 한 총재 측은 “83세 고령에다 심장질환으로 건강이 악화된 상황에서 도주 우려는 없다”며 불구속 수사를 요구하고 있다.
특검은 최근 국민의힘 당원 데이터베이스(DB)를 압수수색해 통일교 신도 추정 인원 11만여 명의 당원 명단을 확보한 상태다. 아직 가입 시기나 책임당원 여부 등 세부 입증 작업이 필요해 이번 영장심사에서 직접적 증거로 제시되지는 않을 전망이지만, 통일교의 조직적 정치 개입 정황은 심사 결과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구속 심사를 받는 정 전 비서실장은 교단 내 인사·재정을 총괄한 ‘2인자’로, 한 총재의 대부분 혐의에 공범으로 적시돼 있다.
한 총재와 정 전 실장의 구속 여부는 이르면 오늘 밤 늦게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신병이 확보될 경우, 통일교 집단 당원 가입과 대선 개입 의혹을 향한 특검 수사에도 한층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