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올 명품백 수령하는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사진=연합뉴스) |
시기와 인물, 방식도 전례가 없는 인사개편이 단행됐다. 서울 중앙지검 수뇌부가 싹 갈렸다.
13일 단행된 검사장급 인사 39명의 간판은 이창수 전주지검장의 서울중앙지검장 임명이지만 디테일을 살펴보면 김건희 여사 수사팀의 해체에 가깝다.
디올백 스캔들을 수사하던 김창진 1차장은 법무연수원 기획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을 담당한 고형곤 4차장은 수원고검 차장으로 발령받았다.
송경호 전 서울중앙지검장은 부산고검장으로 승진했지만 이원석 검찰총장이 송 지검장에게 명품백 수수의혹 전담팀을 가동해서 이달 내에 결과를 내라는 마무리 지침을 내린지 불과 9일만에 전격적으로 진행된 인사는 고개를 끄덕이게 만들기에 충분하다.
첫번째는 시기다.
김건희 여사를 소환해서 조사하겠다는 방침이 검찰청 안팎에서 들려오기 시작하자마자 교체가 진행됐다는 사실은 의심을 갖기에 충분해 보인다.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 비서관이 임명된지 불과 엿새 만에 진행됐다는 점은 확신을 갖게 한다. 법무부 검찰국장을 거친 김 수석이 영향을 미친 것이 분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대체된 인물 역시 그러하다. 이른바 검찰내 친위조직이 전면에 부각된 점이 참으로 공교롭다.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이던 시기, 대검찰청의 대변인을 지내며 신임을 쌓아 온 이창수 지검장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성남FC 후원금 의혹을 수사하고, 문재인 전 대통령의 전 사위가 연루된 '타이 이스타젯 특혜 채용 의혹 수사'로 잘 알려져 있다.
여기에 지방 일정을 진행중이던 검찰 총장이 서둘러 일정을 취소하고 올라온다는 소식까지 더해지면 이 모든 것이 용산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의 의중이라고 해석하기에 충분해 보인다.
22대 국회가 열리기 전에 서둘러 대통령 부인에게 면죄부를 주려는 것이라며 음모설을 퍼뜨리던 사람들이 민망할 정도로 대 놓고 '보호막'을 치는 듯한 이번 검찰 인사는 "특검은 왜 거부합니까? 죄 졌으니까 피하는 겁니다"라고 말한 윤 대통령의 후보시절 발언에 비추어 보면 답이 보인다.
김건희 여사 특검은 거부할 것이 분명하고, 어떤 식으로든 소환 조사를 포함해 김 여사가 다시금 전면에 나서는 일은 없게 하겠다는 뚜렷한 의지가 읽히는 인사다.
최재영 목사는 13일 검찰 조사에 출두하면서 "아무 것도 받지 않았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며 "사건의 본질은 디올백 수수가 아니라 대통령 권한을 이용하고 사유화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검찰 고위직 인사가 대통령 부인을 지키기 위한 또다른 권력 사유화인지 여부는 조만간 확실하게 드러날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 벌어진 상황만으로도 충분히 불쾌하다.
이원석 검찰총장은 "증거와 법리에 따라 신속하고 철저하게 수사해야 한다"고 말하며 김여사 명품백사건을 수사한다 말한 바 있다. 모양새는 총장이 배제된, 뒤통수 인사처럼 보이는데 출근길, 인사관련한 평가를 어떻게 밝힐지 벌써부터 궁금하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