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 (사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이 22대 국회의원 총선거의 비례대표제를 어떻게 할지 결정하기 위해 전당원 투표를 실시하기로 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31일 "전당원 투표를 위한 실무 준비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선거제 개편을 2월 중 마무리하기 위해 현행 준연동형 비례제 유지와 병립형 회귀를 놓고 의견이 팽팽하게 갈린 상황에서 당원의 뜻을 물어 결정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난 대선을 치르며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을 방지하는 연동형 및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약속한 만큼 이를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현행 제도에서 여당도 위성정당을 만들면 총선에 불리하기 때문에 병립형으로 회귀하자는 주장이 맞서고 있는 가운데 민주당은 아직 당론을 정하지 않은 상태다.
이로 인해 지난달 31일 열린 이재명 대표의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지에 대해 질문이 나왔고 이 대표는 "선거제와 관련하여 신중하게 의견을 수렴하는 중"이라고 포괄적인 상황 설명만이 나왔다.
그러나 적어도 2월 중순까지는 결정해야 한다는 시간 제약으로 인해 민주당은 당원들의 의사를 물어 의견을 정하려는 모습이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각각의 시스템에 장단점이 존재한다면서 준연동형 비례제 유지와 병립형 회귀를 놓고 전당원 투표를 치르자는 제안을 내놨다.
이와 함께 만약 연동형을 유지하게 된다면 다른 세력과의 연계 대신 민주당이 직접 위성정당을 만드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원론적으로는 일반국민과 당원들에게 한 약속을 깨는 상황이기에 거부감이 드는 것도 사실이지만 정 최고위원은 "민주당 비례대표"를 선출하고 싶어하는 이들도 존재한다면서 이 역시 전 당원 투표로 물어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막연하게 선택을 맡길 것이 아니라 "지도부가 결정하고 그 안을 의원총회나 전당원 투표로 추인받는 모습이 좋다"는 입장을 여러 방송을 통해 밝힌 바 있다.
아직까지 어떤 질문을 언제 물을 것인지는 알려진 바 없다.
20대 총선에 사용한 병립형으로 회귀하는 안과 21대 총선에 도입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 외에도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 등 '수정 대안'이 포함된다면 양자 간 선택이 아니라 삼지 선택이 될 수도 있다.
국민의힘이 병립형으로 '원상 복구'하는 안을 일찌감치 확정한 상황에서 민주당은 서둘러 당론을 정해야 한다는 당내외의 압박을 민주당이 어떻게 풀어낼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