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과 쿠바의 외교관계 수립을 다룬 로이터 통신 기사 화면 캡쳐 |
대한민국이 쿠바와 전격적으로 수교했다.
한국과 쿠바는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양국 유엔 대표부가 외교 공한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공식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중남미 국가 중 유일한 미수교국이었던 쿠바와 수교는 한국의 외교 지평 확대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193번째 수교국에 이름을 올리게 된 쿠바 정부는 한국과의 외교 관계 수립을 공식 발표했다.
쿠바 외교부는 14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2024년 2월 14일, 쿠바 공화국과 대한민국 간 외교 및 영사 관계가 미국 뉴욕 주재 양국 유엔 상임대표부 간 외교 공한(공적 서한) 교환을 통해 수립됐다"고 발표했다.
쿠바 정부는 이번 수교에 대해 "유엔 헌장의 목적과 원칙, 국제법, 그리고 외교 관계에 관한 빈 협약에서 확립된 정신과 규범에 따라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쿠바 관영언론 그란마와 TV채널 카날카리베 등도 쿠바 외교부 성명을 인용해 한국과의 외교 관계 수립 사실을 보도했다.
쿠바 정부는 비교적 짧은 두 문장 분량으로 성명을 마무리했다. 이 성명은 한때 쿠바 외교부 홈페이지 메인 첫 화면에 올랐다.
공산주의 국가 쿠바는 북한의 '형제국'으로 불리며 지금까지 한국과는 공식 수교 관계를 맺은 적이 없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꾸준히 수교를 위한 물밑 작업을 해왔다"며 "북한이 수십 년 동안 수교를 방해해왔으니 이번에 전격적으로 빨리 발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쿠바가 우리나라와의 경제 협력이나 문화 교류에 목말라 있었던 만큼, 북한에 알리지 않고 우리나라와 수교하고 싶어한 듯하다"고 덧붙였다.
이로써 우리나라와 수교하지 않고 북한과 단독 수교한 국가는 기존 세 곳에서 팔레스타인, 시리아 2곳으로 줄었다.
외교부는 쿠바와 수교를 통해 양국 간 경제협력 확대 및 한국 기업 진출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양국 간 실질 협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쿠바를 방문하는 한국 국민에 대한 체계적인 영사 조력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쿠바에는 일제 강점기 시기에 이주한 한인 후손 1천100여명이 거주 중이다.
양국은 향후 상호 상주공관 개설 등 수교 후속 조치를 적극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코로나19 이전까지 연간 약 1만4천 명의 한국인이 쿠바를 방문했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