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 실패시 국회의장단 이어 상임위원장도 주초 '반쪽 선출' 관측
![]() |
▲현충일 추념식에서 인사 나누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추경호 원내대표 (사진=연합뉴스) |
22대 국회 원(院) 구성 법정 시한을 하루 앞둔 6일 여야는 총 18개 국회 상임위원장 배분을 놓고 팽팽한 대치를 이어갔다.
우원식 신임 국회의장과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현충일 추념식에 나란히 참석했으나 원 구성 문제와 관련한 대화는 나누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는 원구성 협상 최대 쟁점인 법제사법·운영·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의 상임위원장 세 자리의 소유권 주장을 서로 되풀이했다.
우 의장은 7일 오전 국회 의장실에서 여야 원내대표 회동을 처음 주재하며 중재에 나설 예정이다.
국민의힘 추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도 국회 관례상 여당 또는 원내 제2당이 법사·운영위원장을 맡아왔다는 점을 거듭 강조할 방침이다.
국민의힘은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 여당으로서 21대 후반기 국회 때 가져왔던 과방위 등 7개 상임위원장 자리를 이번에도 그대로 여당이 맡아야 한다는 방안을 공식적으로 제시한 상태다.
하지만 171석의 거대 야당 민주당은 법정 시한 내 원 구성 협상이 무산되면 과반 의석을 앞세워 본회의 단독 표결로라도 상임위 구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다만, 민주당은 곧바로 단독 원 구성에 나설 경우 정치적 부담이 뒤따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협상의 문을 며칠 더 열어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9일까지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민주당은 곧바로 우 의장에게 10일 본회의 개의를 요구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우 의장도 지난 5일 본회의에서 의장으로 선출된 직후 당선 인사에서 "개원을 늦출 수도, 늦춰서도 안 된다"고 한 만큼, 10일에 본회의를 열어 상임위원장 선출 안건을 상정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민주당은 이 경우 해당 본회의에서 민주당 몫 11개 상임위원장 선출 안건만 단독으로 표결한 다음 여당을 설득하되, 이마저도 응하지 않으면 나머지 7개 상임위원장도 가져온다는 구상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국회법에는 국회의장 선출후 당일 포함 3일 내에 상임위를 구성하게 돼 있다"면서 "합의가 안되면 법 대로 처리할 수 밖에 없다. 7일 자정까지 기다리되 응답하지 않으면 주말이 지난 10일에 처리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타파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